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기관부적응 영유아 행동판단

by 행복사랑 2023. 7. 12.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부적응하며 과잉행동을 하는 영유아가 있을 때 교사들이 난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 어떻게 부적응하는 영유아의 행동판단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기관부적응 행동의 정의 및 판단 기준

1) 행동이나 행동 패턴이 지나칠 때만 문제가 됩니다.
★ TIPS FOR TEACHER
영유아의 행동이 지나치지 않으나 교사 자신의 문제가 오버랩되어 문제 시되는 행동인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교실 상황에서 판단 기준
: 일상의 활동에 참여하고 학습하기 위한 영유아 또는 다른 영유아의 능력에 심각한 방해 가 있을 때 ⇒ 사회·문화적 맥락, 영유아와 관련된 성인 및 또래의 기대와 상호작용, 객관적 기준 등 고려되어야 하므로 다양하게 정의합니다.

2. 정상 범위의 편차(normal deviations)

1) 영유아들이 보이는 대부분의 문제 행동들은 발달적으로 정상범위 안에 있으며 성숙, 일반적인 양육, 영유아교육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통해 해결됩니다.
2)   영유아들에게서   종종   나타나는   사소한   비정상적   행동은   일반적으로   자기-수정적 (self-correcting) : 일시적으로 나타나지만 새로운 상황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 획득합니다.
3) 교사는 영유아에게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영유아의 목적을 분석하여 판단하여야 합니다.→ 영유아 전문가는 영유아가 매일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을 학습하는 복잡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3. 기질과 부적응 행동

1)  부적절하다고 보이는  행동들은  영유아의 기본  성격(기질)의 반응일  수 있으나  영유아의 기질 자체가 문제 행동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 영유아의 성격적 특징과 환경의 요구, 특 히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1) 기질과 환경 간의 적절한 조화: 환경이 개체에 바라는 기대나 요구 등이 개체의 특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① 기질 또는 양육의 개별적인 영향보다는 기질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강조합니다.
② 조화 적합성이 높을수록 개체의 발달은 최적화합니다.
(2) 조화의 부적합: 환경의 요구와 개인의 특성이 부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조화의 부적합성이 높을수록 개체의 발달이 왜곡되거나 부적응적인 기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발달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영유아는 기본적인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동을 배우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영유아들은 정신적으로 지체되었거나 정서적으로 불안하다는 낙인을 주의해야 합니다.

2) 전략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Kaiser & Rasminsky, 2012/2013)
(1) 긍정적이며 반응적인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형성하기
(2) 교실 환경의 구조화
(3) 성인의 높은 기대감 갖기
(4) 영유아와 함께 해결하기
(5) 교사는 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계획적으로 행동하고 교사의 개인적인 감정은 통제하기
(6) 영유아가 아닌 행동에 대해 초점을 맞추기
(7) 영유아와 개인적으로 이야기하기
(8) 영유아의 문제시되는 행동은 수정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영유아와 함께 유머 사용
(9) 회상하기: 영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이 전달하고 있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10) 매일을 새로운 기분으로 시작하기 : 어제의 일을 문제 삼지 않기
(11) 인내심과 융통성 갖기
(12) 영유아의 문제행동은 더 바람직한 학습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하기

4. 행동수정의 기본가정

1) 영유아의 문제행동은 환경 속에서 학습된 것입니다.
2) 영유아의 문제 행동은 개별적으로 학습됩니다.
3) 영유아의 문제행동은 행동수정 절차를 사용해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4) 영유아의 특정한 문제행동은 그것이 학습된 조건이나 상황에만 한정되며, 다른 상황에까지 일반화되지 않습니다.
5) 영유아의 문제 행동을 수정할 때 ‘지금- 여기서’를 강조합니다.
6) 영유아 행동수정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7) 증상 대치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