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 유아가 세상과 만나고 살아가는 힘

by 행복사랑 2023. 5. 24.

2019개정누리과정에서는 놀이를 통해서 유아들이 다양하게 경험하고 경험이 놀이에서 나타난다고 한다.유아가 세상과 만나고 살아가는 힘인 놀이가 어떻게 변화되어지는 알아보려고 한다.

1. 다양한 공간과의 만남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중심, 놀이중심이 강조되고 있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배우고 다양한 놀이를 경험함으로써 성장해 간다. 놀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고, 놀이경험을 통해 유아들이 유능해진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잘 관찰하고 지원하며 함께 배워가는 공동체로 인식해야 한다.

교사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추구를 지원하기 위해서, 유아가 자유롭고 즐겁게 충분히 놀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해야 한다.

교사의 놀이지원으로는 다양한 공간의 지원, 다양한 놀이자료 제공, 유아와의 상호작용으로 유아의 감정, 공감, 격려 등 정서적 지원과 안전하면서도 문제해결을 위해서 유아가 시도하는 것을 격려해야 하며, 충분한 놀이시간과 놀이경험 공유시간을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교사의 섬세한 놀이지원을 통해 유아의 놀이경험은 이후 세상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힘으로 이어진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여, 놀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기관 내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동료 교사와 의논하여 안전이 보장되는 범위에서 놀이공간을 확장한다. 유아의 의견에 따라 교실 이외의 새로운 공간에서 유아들의 놀이가 전개될 때, 더 다양하게 놀이가 전개되며 놀이가 지속된다. 교실을 벗어나 교실 밖, 복도 이후 벽, 계단과 강당까지 활용할 때, 유아의 놀이는 다양해지며 놀이를 통해 다양한 것을 경험하게 된다.

교사가 놀이의 시간을 충분히 주고, 다양한 공간(교실, 복도, 유희실, 마을 등)에서 놀이가 진행될 때, 유아들의 놀이가 연결되고, 유아들이 충분히 놀이에 몰입하게 된다.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흐름에 따라 융통성 있게 교사가 다양한 공간에서 놀이가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때, 교실과 기관에서 벗어나 동네를 산책하거나 지역사회의 공원을 가는 길, 동네 강가나 동네 놀이터 등 지역사회서 만나는 다양한 공간에서 유아들이 놀이를 통한 배움이 이루어진다.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교실 내 놀이영역을 변화할 때, 유아가 주도하는 다양한 놀이가 전개되며, 놀이가 확장되고 놀이가 살아나는 진짜 놀이가 된다.

2. 다양한 자료와의 만남

유아 중심 및 놀이 중심을 추구하는 개정누리과정에서는 교사는 유아의 놀이 지원자이다. 교사는 놀이의 특성, 의미, 가치를 이해하여 유아가 즐겁게 놀이하면서 배우는 경험을 지원할 수 있다. 유아가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자유롭게 참여하고 주도하는 놀이가 되어야 한다.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는 유아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이끌어 가는 놀이를 의미한다. 유아는 놀이를 하면서 유능함을 드러내고 즐겁게 배우며 성장한다.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는 교사의 간섭과 통제를 최소화하고, 유아가 다양한 놀이 환경과 만날 때 활발하게 나타난다. 유아가 보고 듣고 만지며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은 놀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요한 교육적 자원이다. 즉, 일상에서 만나는 다양한 자료는 유아들에게는 자연스럽게 놀이가 될 수 있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이 경험한 세상을 재구성하며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혀 나간다.

유아에게 놀이자료는 자신의 감정, 생각과 상상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이자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교사는 놀이 상황과 맥락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유아의 놀이를 존중하고 이해하면서 유아들이 필요로 하는 놀이자료, 놀이 공간, 놀이 규칙과 안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교사는 유아들이 흥미를 보이고 관심을 보이는 놀이자료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놀이를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놀이자료로는 유아가 많이 사용하는 익숙했던 종이, 블록, 딱지, 컵, 상자와 재활용품, 자연물 등의 놀이자료를 가지고 놀면서 새롭게 놀이로 이어지며 놀이에 몰입하게 된다. 교사는 유아들의 놀이 자료로 흔히 사용되지 않던 기계류, 바늘과 실, 전자 피아노 등을 유아가 관심과 흥미를 보이는 놀이자료로써 가지고 놀이할 때, 낯선 자료에 대한 친숙함이 더해진 놀이를 통한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풍부한 놀이자료를 제공하여 유아들의 놀이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