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2019개정누리과정 놀이 실행자료

by 행복사랑 2023. 5. 4.

개정누리 과정의 변화에 맞도록 놀이를 잘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수행해야하는 역할이 있다. 2019개정누리과정을 수행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실현되도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같은 기관의 동일 연령의 학급이라 할지라도 전혀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교사의 자율성을 지원하고, 현장에서 놀이가 살아나도록 간략화된 교육과정 내용을 기반으로 유아에게 마음껏 놀이할 권리를 회복시켜 주는 것으로 유아를 교육과정의 운영의 주체로서 교사와 함께 교육과정을 구성해 가는 공동 구성자로 인정해야 한다. 즉, 유아와 교사가 동시에 주체가 되어 함께 실현해 가는 것이다.

교사는 놀이 속에 배움과 누리 과정 5개 영역의 내용을 읽고 적절하게 지원하는 것으로, 학급 수준의 교육과정의 개발자로서 더 높은 전문성이 요구된다.교사는 유아가 놀이하며 배우는 유능함에 대해 이해를 하고, 일과에서 놀이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유아들의 흥미와 무관한 활동을 계획해서 실시하지 않으며, 유아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학급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유아가 주도적으로 즐겁게 참여하여 활동이 진행되도록 하며, 놀이나 일상생활을 관찰하여 잘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

교사가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아를 이해는 민감성을 갖추고, 놀이의 총체적 의미를 읽어내며, 놀이에 참여하지 않아도 격려, 미소, 공감의 표정을 보이며 칭찬과 격려의 말을 해 주는 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 놀이를 관찰하다가 배움이 일어나도록 질문이나 제안 등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언어적 지원, 놀이공간과 놀이자료를 제공하는 환경적 지원을 한다. 유아의 배움을 잘 기록하고 평가하기 위해 결과가 아닌 과정에 집중한다. 교사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교육철학과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를 점검하고 배움을 이어가야 한다.

개정 누리과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놀이의 가치 및 교사와 유아의 역량에 대해 이해와 신뢰를 형성하며,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구성원 간의 공유 및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교사 간의 협력적 학습 공동체로써 고민, 어려움, 유용한 정보 및 다양한 시간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구성원 모두가 성장한다.

2. 교육과정의 변화 준비하기

개정누리과정을 실행하기에 앞선 변화의 시작점은 관계이다. 개정누리과정은 유아, 교사, 학부모, 원장(원감), 지역지원체계 간의 새로운 관계를 요구한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놀이의 가치 및 교사와 유아의 역량에 대한 공통적 이해와 신뢰가 형성되면 유아, 놀이중심 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구성원 간의 협력적 관계 및 조직 문화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유아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관계 변화의 핵심은 유아-교사 간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교사 간 민주적 관계 정립을 위해 교사는 놀이하며 배우는 유아의 역량을 최대한 신뢰하고 이를 교수실천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는 교육과정을 함께 구성해 나가는 존재이므로 일과 구성, 놀이공간, 놀이자료, 평가 등에 있어 유아의 소리가 반영되는 비중을 늘려야 한다.

원장과 교사 간이 관계도 협력적, 지원적 관계로 재정립이 필요하며 원장은 교사를 지원하고 협력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학부모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교사와 학부모 간 협력적 관계 형성을 도와야 한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기관과 학부모와이 교육 철학에 대한 공유 및 협력적 관계가 더욱 중시된다. 원장과 교사는 놀이의 가치 및 놀이 중심 교육 과정을 학부모에게 지속적으로 안내하여 가정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