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유아,놀이중심 누리 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역할

by 행복사랑 2023. 4. 29.

유아의 놀이를 통해 배움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는데 교사는 유아와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으로 그 누구보다 유아의 놀이를 잘 아는 전문가이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지원하며 유아와 함께 성장하고 배워 나가기 때문에 중요한 유아놀이중심을 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개정 누리과정과 교사의 역할

개정누리 과정에서는 일과는 놀이, 일상생활, 활동으로 구성되는데 특별히 '놀이'를 중심으로 일과를 편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유아·놀이중심 누리과정을 위해서는 교사의 놀이에 대한 생각을 바꾸면 우리 아이들이 행복해질 수 있다. 유아중심·놀이중심의 진정한 배움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 아이들이 만족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온전한 놀이의 주도권을 유아에게 주는 것이다. 누리과정의 주체가 교사가 아닌 유아가 될 때, 교육내용과 목표 또한 지식 위주가 아닌 유아들의 실생활과 연계한 내용으로 이루어질 때 이런 변화들을 통해 유아들은 수업에서 기쁨과 행복을 느끼게 된다.

교사는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권력적인 교사가 아닌 유아의 감성과 상상력에 응답하며 함께 놀이할 줄 아는 교사라는 생각을 할 때 수업이 재미있고 신이 난다. 즉, 교사와 아이 모두가 함께 즐겁고, 행복한 수업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유아들이 각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따라 놀이를 하면서 교육과정 5 영역의 내용들이 자연스럽게 활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교사는 스스로 유아들이 놀이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세상을 알아가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유아들의 놀이에서는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 유아들이 직면한 환경에 따라 흥미와 놀이방법이 조금씩 달라지며, 독특한 놀이 모습이 존재하게 된다.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세상을 탐구하며, 친구들과의 놀이규칙을 통해 사회성을 기르게 된다. 또한 놀이를 하면서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친밀감을 가지게 된다.

놀이를 통한 유아의 배움을 지원하기

유아중심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유아를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로 교사와 함께 교육과정을 구성해 가는 공동 구성자로 인정해야 한다. 교사는 어떤 유아라도 자유롭게 놀이하고 그 안에서 배움을 구성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존재임을 신뢰하고 유아의 놀이를 잘 관찰해야 한다.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놀이를 중심으로 아이들은 정형화된 놀이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놀이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행복해한다. 스스로 유아에게 끝까지 해보는 자율적인 기회가 부여될 때, 놀이를 통해 우리 아이들은 성장하게 된다.

교사는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즐거움과 흥미를 가지고 몰입하고 있는지에 대한 놀이 평가의 기준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아이들의 놀이를 잘 관찰하여, 아이들의 관심사에 교사가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반응해 주면 된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다가 도움이 필요할 때 적시에 지원해 주고, 놀이가 확장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면 된다. 교사는 놀이 시 허용적인 분위기로 관대해지며, 안전사고에 조금 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다. 아이들이 다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학부모 교육과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와 교사, 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상호협력하고 연계해 나갈 때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