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알기!!

by 행복사랑 2021. 12. 12.

프로이트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 성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행동은 마음속 깊은 곳에 감추어져 있는 기억하지 못하는 정신세계에 의해 많이 지배된다는 믿었습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정신분석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성격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세계에서 개인의 충동 또는 원초적 욕망은 추진력을 갖고 상반되는 사회적 기대와 갈등으로
원초아와 자아, 초자아는 서로 경재하고 타협과 조절을 하는 역동적 과정이 일어난다는 관점에 기반을 둔 것이 역동적 이론입니다. 프로이트는 사람들에 따라 특정한 양의 정신 에너지가 고착되거나 지나치게 투입되고 심리적 중요성이 크면 클수록 정신에너지의 양은 많아진다고 보았습니다. 이때에 외부환경과 원초아와 초자아를 중재하는 성격의 중심구조로 자아의 기능을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건강하고 성숙한 사람일수원초아의 욕구를 초자아의 도덕적 신념과 절충하고 적절한 충족을 시키면서 자아의 기능 잘 발달시킵니다. 모든 에너지는 타고난 본능에서 지속적으로 나오며 무의식의 욕구를 견제하는 초자아와 자아의 의식, 무의식적 발산과 조절이 충돌하며 정신적 힘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상태입니다.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의 양은 고정되어 있어 역동적 과정에 일정 양 또는 제한된 힘의 양은성격의 다른 하위체계인 자아와 초자아에 재배분되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동에는 이러한 정신적 에너지의 상호작용이 신체를 통해외적으로 표현되며 이때에 현실적 수용이 어려운 부분은 무의식화 됩니다. 이렇게 내재된 무의식은 심층 부분에서 미해결과제로 남아 영향력을 발휘하며 증상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무의식의 미해결과제로 남아있는 감정은 인격의 부분에 동화되지 못하고 의식에서도 인식되지 못하며 해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축적된 감정들을 적절히 표출하지 못하면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정신적 에너지의 힘의 균형과 조절력을 자아에서 통제하지 못하게 되어 특정한 부분에 고착되거나 집중적으로 투사됩니다.
따라서 무의식에 있는 이러한 경험은 방어기제를 동원하는 방식이 나 특정한 상징성을 가지고 표출하면서 증상을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기본원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기본적 원리는 정신결정론(psychic determinism)입니다. 이는 우리 몸과 마음은 우연히 또는 되는대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과거의 경험과 연결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몸과 마음의 느낌이나 사건들이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단지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실제로는 과거의 경험들이 그 이후의 일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유아기 부모의 양육과 환경은 본능적 충동과 환경적 요구를 중재하는 자아와의 상호작용과 발달과정의 경험은 성격구조가 형성되며 무의식에 축적되어 성장이 후에도 심리적 문제의 근원을 이루고 있습니다. 아동의 경우는 성인에 비해 자유연상의 준비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그림의 사용이 언어의 사용을 통한 치료기법보다는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해 줍니다. 무의식적 동기를 각성시켜 의식 수준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서 꿈 보다 미술작품의 분석이 더 효율적입니다.

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심리기제

프로이트는 가장 이상적인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가 조화를 이르는 상태라고 보았다. 이 세 가지는 성격 구조는 늘 갈등 속에 있고 각 부분이 상호작용하며 갈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만약 원초아와 초자아의 요구와 현실의 압력이 통제하기 어려워 자아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면 불안을 일으키고 중재역할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갈등을 느끼게 된다. 이때 방어기제가 자아를 일시적으로 보호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정적 욕구나 사회에서 바람 하지 못한 행위를 하고 싶을 때 무의식 속에서 심리적 자기 방어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방어기제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능동적인 면과 수동적인 면이 상호작용하는 존재로 보았다. 또한 타고난 선척적 내적 특성과 환경적이고 사회적인 특성이 상호작용하는 존재로 보았으며 이러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바로 이론 갈등은 성격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성격과 원리, 심리기제를 이해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