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누리 과정에서는 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을 재차 강조하고 있습니다. 영유아의 놀이는 사전적인 의미로 생활상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목적이 없는 활동으로서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인간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놀이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영유아가 세상을 경험하고 배워 나가는 방식이다. 영유아의 놀이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아의 놀이는 자유롭다.
놀이를 이야기하기 전에 놀이와 탐색에 대해 허트는 탐색은 익숙하지 않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이 물건의 속성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하고 의문을 풀기 위한 행동이라고 합니다. 놀이는 탐색한 물건에 대해서 '이 물건으로 무엇을 할까?'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물건을 접하면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해 보다가 차츰 익숙해지면 기초 놀이를 하게 됩니다.
놀이는 자유롭다의 의미를 살펴보면 목적에서의 자유, 규칙에서의 자유, 사실에서의 자유, 시간과 공간의 경계에서의 자유를 말합니다. 놀이는 특정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놀이에서 특정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일방적으로 안내하는 것은 진정한 놀이가 아니라 놀이의 흐름을 따라가야 합니다. 놀이에의 질서는 놀이 안에서 만들어지며 놀이를 놀이답게 만듭니다. 놀이에서 경험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현실을 넘어서 상상하고 자유롭게 표현합니다.
2. 유아의 놀이는 주도적이다.
놀이는 주도적이다의 의미는 자발적 참여, 능동적, 내적 동기입니다. 놀이는 유아의 내부에서 일어난 욕구와 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원동력이 됩니다. 유아의 놀이는 외부에서 계획하여 제공한 학습 목표의 범위 안에 머무르는 과제 수행과는 다른 속성을 지니게 됩니다. 놀이는 유아가 스스로 적극적으로 세상을 알아가는 여정이자 세상을 새롭게 창조하는 과정으로서 창의성을 담고 있습니다. 유아는 온몸의 감각과 기억으로 자연과 세상을 만난다. 유아가 놀이하며 보여주는 독특한 움직임, 표정, 재미있는 말과 이야기, 그림이나 노래 등은 모두 놀이의 과정이자 배움의 결과이다. 유아는 놀이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세상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성장해 간다.
3. 유아의 놀이는 즐겁다.
놀이는 즐겁다의 의미는 재미, 몰입, 감점의 해소, 상상과 호기심, 유머입니다. 놀이는 재미와 기쁨이라는 정서를 넘어 몰입의 상태로 들어가게 합니다. 놀이에서 정서적 긴장, 두려움, 갈등을 해소하고, 따뜻함, 배려, 아름다움과 같은 심미성을 통합함으로써 즐거움을 경험합니다. 놀이를 하며 새로운 물질의 성질과 현상 및 관계를 발견하며 상상하고 호기심을 가지게 됩니다. 놀이에서 유머가 사용되어 유희성을 증폭되면 즐거움이 강화되고 공유됩니다. 유아가 각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스스로 놀이를 하며 즐기고 배우게 됩니다.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는 재미가 있습니다.
놀이의 지원은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놀이를 유심히 살펴보고, 귀 기울이면서 놀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성급히 놀이에 개입하기보다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잘 살펴보고 놀이의 자율성을 지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유아의 놀이에 귀를 기울여 유아가 중심이 되고 놀이가 살아나는 교육과정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유아 놀이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고,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을 지원하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육과 아동 학대사이에서 아동학대 예방 (0) | 2023.07.21 |
---|---|
유아동의 색채심리 분석 (0) | 2023.07.21 |
영유아의 놀이유형 발달 (0) | 2023.07.19 |
영유아 부적응 행동 이해하기 (0) | 2023.07.18 |
2019 개정누리과정 고시문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