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영유아의 놀이유형 발달

by 행복사랑 2023. 7. 19.

우리 아이들의 놀이에도 발달 단계가 있습니다. 영유아의 발달에 따라 놀이 유형이 달라지게 됩니다. 놀이와 발달은 양방향적 관계입니다. 놀이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고, 발달은 놀이에서 관찰됩니다. 놀이의 유형은 연령과 발달 수준, 놀이 행동 특성, 놀이 자료 등 다양한 기준과 포괄적 범주로 나누어 인지적 관점, 사회적 관점에서 분류합니다.

1. 놀이 유형 발달(인지적 관점) 

피아제는 앎에 관한 구성의 주의적 견해를 가진 학자로서 유아기 놀이 행동을 인지 발달단계로 나뉘었습니다.

피아제의 놀이 유형 발달단계

연습 놀이 (감각운동기로 출생~2세) : 탐색과 놀이를 구분함에 있어 자신의 몸과 환경을 탐색하기 위해 맛보기와 만지기 같은 감각과 신체 움직임을 사용하는 가로 구분합니다. (빨기, 불기, 손 주었다 펴기, 까꿍 놀이 등과 같은 단순한 반복행동이 속합니다.​

상징 놀이 (전 조작기로 2~7세) : 상징과 환상 놀이를 즐기며 새로운 것을 기존의 친숙한 물체로 동화시키는 과정에서 놀이가 발생합니다.

규칙 있는 게임(구체적 조작기 7~11세, 형식적 조작기 11~15세) : 구체적 조작기 7세 ~11세는 좀 더 논리적, 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지고 모방과 재적 조절력이 발달되면서 창의력과 상상력이 발달되며 숨바꼭질과 같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놀이와 집단 게임을 즐깁니다. 형식적 조작기 11세~ 15세는 지적인 요소가 가미된 규칙에 의한 게임에 흥미를 갖습니다.

스밀란스키의 놀이 유형발달 단계

스밀란스키는 피아제의 놀이 행동 분류에 기초하여 놀이 관찰 연구를 실행한 결과, 유아의 놀이 발달상 기능적 순서는 있지만 구성놀이와 극놀이는  자발적으로 나타나며 동일한 발달과정을 가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기능 놀이(감각운동기로 출생~2세) : 피아제의 감각 운동 단계에 속하는 실제적 놀이의 특성에 해당됩니다. (넣었다 빼기, 떨어뜨리고 줍기 등 물체의 기능과 속성 등물체의 특성을 탐색합니다.)

구성 놀이(전 조작기로 2~7세) :  피아제의 전조작기 단계에 속하는 상징 놀이의 특성에 해당됩니다. 물체를 구성하거나 창조하는 놀이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극놀이(전조작기로 2~7세) : 피아제의 전조작기 단계에 속하는 상징 놀이의 특성에 해당됩니다. 모방과 상상이 극대화되는 다양한 역할놀이를 즐깁니다.

규칙 있는 게임(구체적 조작기 7~11세, 형식적 조작기 11~15세) : 형식적 조작기부터는 과제의 계획과 수행, 완수가 학습을 위해 중요하게 여겨집니다.(단순한 규칙에서 복잡한 규칙의 이해가 가능해지며, 점차 세분화된 규칙 만들기와 제한의 설정에 집중합니다.)

​2. 놀이 유형 발달(사회적 관점)

사회적 관점에서의 놀이단계는 유아가 다른 영유아들과 어느 정도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느냐에 따라 놀이를 분류하여 그 발달 단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파튼의 놀이 유형발달

파튼은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관찰 연구를 통해 영유가 사회적 놀이 유형의 범주와 다양한 놀이 행동 특성을 연구하였습니다. 비참여하였습니다. 행동: 놀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 관심과 흥미에 따라 잠시 바라볼 뿐이며 놀이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방관자 행동:  다른 영유아들이 노는 것을 지켜보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니다. 가까운 거리에서 남들이 노는 것을 지켜보며, 말을 건네거나 질문을 한다든지 제안을 하지만 놀이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단독 놀이(혼자놀이): 2~3세 영유아들에게서 볼 수 있으며 주변에 있는 친구와 다른 놀잇감을 가지고 혼자서 독자적으로 놀이하는 형태입니다. 자기중심적 사고를 하기 때문에 놀이 시 대화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병행 놀이(평행 놀이) 병행 놀이는 주로 2.5~3.5세에 나타나며 친구들과 함께 노는 것을 좋아하면서도 상대편 영유아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혼자 놉니다. 다른 친구들과 같은 놀잇감을 가지고 놀거나 함께 사용하고 흉내 내기도 하기 때문에 얼핏 보면 집단놀이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혼자놀이입니다.

연합 놀이:연합 놀이는 3.5~4.5세에 나타나며 친구들과 어울려 놀면서 놀이 내용에 대한 공동 관심사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놀잇감을 빌려주기도 하는 등의 행동이 나타납니다. 어울려 놀지만 집단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놀이하며, 친구들과 놀이하는 집단놀이 형태입니다.

협동놀이협동놀이는 가장 발전한 사회적 놀이로 유아들끼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놀이를 하는 형태로 주로 5세 유아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한두 명의 리더가 되거나 공동의 관심과 목표에 따라 역할을 분담하는 등 조직적 놀이가 진행됩니다.

 

학자의 견해에 따라 인지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으로 놀이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우리 아이들의 놀이를 통해 발달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사가 적절하게 지원함으로써 영유아의 놀이가 더 확장하여 놀이를 통해 성장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