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현장에서 교사와 영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교사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긍정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이 중요합니다. 교사가 영유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자아존중감 발달, 정서적 안정, 사회적 유능 감발 달, 부적응 행동 감소, 행복감이 증가합니다. 교사가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상호작용은 말투, 언어, 행동, 비언적 메시지가 중요하며 영유아의 입장에서 상호작용을 해야 합니다.
상호작용의 원리
관심 보이기: 영유아가 관심 보이는 것에 관심 가져주기 ➜ 영유아의 욕구에 관심 보이기➜ 영유아의 긍정적 행동에 관심 보이기 ➜ 영유아의 반응에 관심 보이기
애정 표현하기: 따뜻한 말로 애정 표현하기➜ 신체적 접촉을 통해 애정 표현하기 ➜ 수용의 눈빛으로 애정 표현하기 ➜ 칭찬과 격려의 말로 애정 표현하기 ➜ 영유아가 필요로 할 때 애정 표현하기
인정하기 : 영유아의 현재 모습을 그대로 인정해 주기 ➜ 영유아 모두를 평등하게 대하기➜ 영유아의 부정적 행동과 태도를 진심으로 인정해 주기
반응하기, 격려하기, 질문하기: 영유아의 느낌, 행동, 활동, 신체 부위, 가족 등에 대해으로 표현해 주기
“OO가 블록을 세 개 올라가서 뛰어내렸구나.”➜ 영유아의 행동으로 인해 일어난 사물의 변화에 대해 “OO가 두 팔로 밀어서 블록을 넘어뜨렸네.”➜ 영유아가 원하는 바를 추측하여 마음을 읽어주기 “OO도 이거하고 싶구나. 친구에게 ‘나도 하고 싶어’라고 직접적 말해주기 말해볼까?” ➜ 불명확한 언어 표현을 완성된 문장, 또는 정확하게 발 영아: 내 지야~ 토끼랑~
교사: 내 집이야? 토끼랑 같이 사는 OO네 집이에요? ➜ 영유아가 보고 있거나 흥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언급하기
“어, 토끼가 풀을 먹고 있네.”➜ 또래 영유아의 입장이나 마음을 대신 말해주기 “OO는 지금 기분이 좋지 않은가 봐.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친구를 자꾸 만지는 것은 싫대.”➜ 책에 있는 내용에 대해서 질문하고 대화하기 “다람쥐가 무엇을 먹고 있을까?”➜ 자연을 경험하도록 하기 “나뭇잎을 밟으니까 어떤 소리가 나니?”
2. 보육교사의 말과 행동의 점검
어디까지가 권리 존중이며 훈육과 학대의 경계인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이거 누가 그런 거야? 하지 말라고 했지? ““지금부터 절대 절대 뛰지 않아요. 지금은 노는 시간 아니야.”
“너 자꾸 이렇게 해?” “친구가 싫다잖아, 하지 마세요!”“민수야, 친구가 하고 있는데 뺏어가는 거 아니에요!”
“이게 뭐예요! 예쁘게 예쁘게 정리해야지!” “당장 그만두지 않으면... 혼자 놔두고 갈 거야!”
“너 또 그 자리에 앉는다고 우는 거니? 왜 그 자리에만 앉는 거야?”“또 쌌네. 응가를 했으면 말을 해야지. 아휴, 힘들어 죽겠네.”“애기처럼 욕심 내는 친구는 동생 반에 가세요.”“또 가니? 아까 다녀오지 않았어?”“지금부터 절대 절대 뛰지 않아요. 지금은 노는 시간 아니야.”
지금 나는 어떠한 상태에 있고 영유아에게 어떻게 이야기를 하고 행동하는지 교사가 나의 신념과 철학 점검해 보기를 해야 합니다.
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줄어야 상호작용이 잘 된다.
분노는 당위적 기대가 어긋날 때 발생합니다 ➜ 해야 하는 것이 일어나지 않거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분노는 90초 만에 사라진다! ➜ ‘하 버 드 의대 J i l l Ta y lo r 박사: 분노는 불과 90초 만에 사라집니다. But, 분노가 오래 지속되는 이유는 분노 상황을 계속 생각, 발생하지도 않을 일을 미리 생각하면서 분노 경험을 스스로 연장시키기 때문입니다. 직무스트레스와 분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혈당을 적절하게 유지하라. 분노 초기에 주의 전환하라. 통제할 수 없는 것과 통제할 수 있는 것을 구분하라고 합니다.
교사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영유아에게 엄청난 영향을 발휘합니다. 언어를 사용할 때 교사는 말과 행동을 점검하고 바른 말과 바른 언어를 사용하여 영유아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을 하길 기대해 봅니다.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를 존중하는 교사 (0) | 2022.05.24 |
---|---|
영유아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 (0) | 2022.05.23 |
개정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영유아 놀이지원 실행 (0) | 2022.05.22 |
제 4차 어린이집 개정 표준보육과정 (0) | 2022.05.17 |
개정 누리과정에서 보육일지 작성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