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에서는 물리적 환경, 운영체계 등 여러 요소가 중요하지만 영유아에게는 보육교사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영유아는 교사와의 관계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자 기를 표현할 뿐 아니라 교사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 제시된 사례를 통해 영유아와 교사의 관계를 살펴보자.
만 2세 반 철이는 통합반 보육실에 들어왔다. 시간이 늦어 통합 교실에는 만 1세 동생 정이와 같은 반 친구 영이 밖에 없다. 철이는 미니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영이를 쫓아 자기도 붕붕이를 타고 보육실을 돌아다니며 논다. 그러던 중 철이가 영이의 자동차 앞부분에 자기 자 동차를 들이대며 앞쪽으로 밀치기를 한다. “야~ 야~ 저리 가”라고 말한다. 3-4회 정도 세 게 부딪치지는 않지만 밀치기를 한다. 조금 떨어진 곳에 있던 교사는 이 상황을 보고 싸움으로 번지기 전에 빨리 개입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아이들 곁으로 다가간다. “철이야, 친구랑 사이좋게 놀아야지. 그렇게 밀치면 어떻게 해? 영이한테 ‘미안!’하고 사과하자. 그리고 너는 저쪽 쌓기 놀이 쪽에서 타자”
1. 전체적 맥락에서 놀이 상황을 민감하게 보았는가?
영유아는 언어적인 표현보다 몸짓, 표정 등 비언어적 표현이 더 자유롭다. 철이의 행동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교사는 생각할 필요가 있다. 놀 수 있는 또래 친구가 영이밖에 없었던 철이는 영이와 놀고 싶다는 욕구를 이렇게 표현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만약 교사가 자동차를 밀치는 행동이 두 영아의 상호작용이라거나 관심의 한 표현이 라고 생각한다면 아이 행동의 의도를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싸움으로 번질 위험한 상황이라기보다 서로 즐겁게 상호작용할 기회로 인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영유아의 행동에 관심을 갖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고려하여 영유아의 행동을 이해해야 한다.
2) 주도권은 꼭 교사가 가져야 하는가?
영유아는 미숙한 존재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교사인 내가 우월한 입장에서 이끌어 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영유아는 능동적인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영유아는 세상을 배우고 관계를 형성할 때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영유아와의 관계에서 교사는 모든 것을 알려 주고 영유아는 배워야 한다는 이분법적 생각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인격적인 존중의 대상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교사라면 당연히 영유아를 존중하고 영유아의 자기 조절력을 믿어야 할 것이다.
위의 사례에서도, 교사는 영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자신이 주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을 제안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유아의 자기 통제력과 힘을 믿는 교사라면 영유아 스스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돕는 역할에 더 충실해야 할 것이다.
3) 공감적인 배려가 있는가?
아이들과 함께 하는 보육 일과는 매우 지치고 힘들다. 때로는 평가나 문서로 인해 진정한 보육의 본질인 아이들과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 없이 의무와 책임으로 일과를 보낼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항상 아이들을 대하고 있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긴장감을 유지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하루 종일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의 입장에서도 누군가와 따뜻함을 나 누며 정서적인 지지를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사와의 온정적인 관계를 경험 한 영유아는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으로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위 사례에서도 교사가 만약 따뜻한 태도를 가지고 접근하였다면 철이의 감정에 더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읽어주었을 것이다. 철이도 자신의 잘못을 지적하며 대안을 제안하는 선생님보다 자신의 마음을 읽어주며 생각을 듣고 싶어 하는 선생님에게 더 따 뜻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영유아 권리 인식 간편 진단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권리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아동권리 인식 지표를 점검해 볼 수 있다.
연번 | 아동권리인식내용 | 예 | 아니오 |
1 | 유아는 어쩔 줄 모르거나 기분이 언짢을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
2 | 유아는 부모와 사는 것이 위험하지 않는 한, 부모와 함께 살며 그들과 시 간을 보내야 한다. | ||
3 | 유아는 필요할 때 누군가 보살펴주고 유아의 입장에 서서 말해줄 수 있다. | ||
4 | 유아는 잘못을 하더라도 공평하게 대우를 받아야 한다. | ||
5 | 유아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줄 수 있다. | ||
6 | 유아는 아플 때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
7 | 유아는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 ||
8 | 유아는 자신과 관련된 사항을 결정할 때 유아의 생각이 존중되어야 한다. | ||
9 | 유아에게 옷, 음식, 살 곳이 주어져야 한다. |
10 | 유아는 자신과 관련된 사항을 결정할 때에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 ||
11 | 유아는 자신의 종교, 언어, 피부색, 종족과 신분 때문에 차별받지 않는다. | ||
12 | 유아는 자신과 관련된 계획이나 일을 할 때 자신의 입장이나 희망사항이 존중된다. | ||
13 | 유아는 좋은 친구를 사귈 기회를 가져야 한다. | ||
14 | 유아는 놀이를 즐기고 상상을 할 수 있다. | ||
15 |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사람과 친구할 수 있다. | ||
16 | 유아는 다른 사람의 종교, 언어, 피부색, 종족, 신분을 존중할 줄 안다. | ||
17 | 유아는 자신의 모든 능력과 재능을 계발할 수 있다. | ||
18 | 유아는 나쁜 일이 발생했을 때(전쟁, 화재, 지진, 홍수, 기아 등) 즉시 도움을 받는다. | ||
19 | 유아는 자신의 능력과 노력이 허락하는 한 최고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
20 | 유아는 태어나서 자신만의 특별한 이름을 갖는다. | ||
21 | 유아는 자신만의 시간과 방해 받지않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 ||
22 | 유아는 어른이 되기 전까지 전쟁에 참여하지 않는다. | ||
23 | 유아는 마음에 드는 물건을 돈으로 살 수 있다. | ||
24 | 유아는 자기 나이에 걸맞는 행동을 선택해서 할 수 있다. | ||
25 | 유아는 자신을 사랑하고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과 함께 있어야 한다. | ||
26 | 유아는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배울 기회를 가져야 한다. | ||
27 | 유아는 자기 방식으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사람으로 존중받는다. | ||
28 | 유아는 종교나 신념을 가질 수 있다. | ||
29 | 유아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중과 경청을 받는다. |
30 | 유아는 자신의 권리를 책임 있는 사람의 지지를 받는다. | ||
31 | 유아는 자신을 진정 생각해주는 어른에게 관심과 지도를 받아야 한다. | ||
32 | 유아는 위험하거나 아동 나이에 맞지 않는 노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 ||
33 | 유아는 나이가 들면서 더 많고 큰 책임을 진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 ||
34 | 유아는 자신의 감정을 해칠 사람이나 상황으로부터 보호 받아야 한다 | ||
35 | 유아는 공부할 장소를 가져야 한다. | ||
36 | 유아는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
37 | 유아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삶을 좋게 하기 위해서 일할 수 있다. | ||
38 | 유아는 다른 사람에게 사랑을 베풀 기회를 갖는다. | ||
39 | 유아는 배우기 위해서 바라는 만큼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0세 영아의 발달 (0) | 2022.06.09 |
---|---|
영유아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교사가 저지르는 말실수 (0) | 2022.06.05 |
영유아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 (0) | 2022.05.23 |
교사영유아간 긍정적 상호작용 (0) | 2022.05.22 |
개정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영유아 놀이지원 실행 (0) | 2022.05.22 |